클라우드 배우기
디스크 파티셔닝 본문
디스크 파티셔닝 : 논리 스토리지 파티션으로 분할
1. MBR 파티션 체계 : 최대 15개의 파티션 생성 가능, 디스크 크기는 최대 2 TiB
2. GPT 파이션 체계 : 최대 128개의 파티션 생성 가능, 디스크 크기는 최대 80억 테비바이트(TiB)
파티션 관리
fdisk 는 저장을 안 하면 적용이 되지 않지만 parted는 바로바로 적용되니 유의할 것
# parted /dev/vdb mklabel msdos (MBR로 생성)
# parted /dev/vdb mklabel gpt (GPT로 생성)
=> 처음에만 설정
# parted /dev/vdb
xfs : RHEL 7부터 사용, 더 큰 파일에 용이, inode 더 많이 만들 수 있음
(inode : 파일시스템에서 만들 수 있는 파일의 개수)
(parted) mkpart
(parted) print
(parted) mkpart
(parted) print
(parted) rm 2 => 파티션 삭제
(parted) quit
# parted /dev/vdb mkpart xfs 1002MV 2003MB => 한 줄로 생성도 가능
# parted /dev/vdb print
파일 시스템 마운트
# mount /dev/vdb1 /ext4
# mount /dev/vdb2 /xfs
# vim /etc/fstab
mkfs.ext4 /dev/vdb1
mkfs.xfs /dev/vdb2
mount -a => 참고해서 mount 함 ( # vim /etc/fstab )
mount /dev/vdb1 /mnt => mount 경로 지정
df -i | grep vdb
lsblk -f
blkid | grep vdb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dhat RH-134 : 부팅 시, 파일 시스템 문제 복구 (1) | 2023.10.19 |
---|---|
Selinux 비밀번호 복구 (1) | 2023.10.19 |
SELinux 보안 관리 (0) | 2023.10.18 |
Redhat RH-134 : tuned 데몬 + SELinux 보안 관리 (0) | 2023.10.17 |
Redhat RH-134 : 시간 변경 + tar 아카이브 + RSYNC (1) | 2023.10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