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권한 설정 - setgid, setuid, stickybit
기본적인 권한 관련해서는 하기 글 참고
메타데이터 정보 분석 - CentOS 7
메타데이터(파일 속성) 정보 분석 1. 원본 ● -rw-r--r-- 1 root root 505 8월 8 11:54 korea.txt 2. 분석 ● - : 파일 -, 디렉토리 d, 심볼릭링크 l ● rw- : 소유주(owner), u(표시), r(읽기), 4(읽기), w(쓰기), 2(쓰기),x (
hiheey.tistory.com
ACL 설정하기 - CentOS 7
ACL 1. chmod의 같은 경우에는 세 명이 넘는 사용자에게 각각 다른 권한을 줘야 할 때 그 기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해주기 위하여 ACL(Access Control List)을 사용한다. 2. 사용법 3. ACL 을 활용
hiheey.tistory.com
Set-uid(4): user에 관한 특수 권한 설정
- 파일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
# chmod4644 디렉토리/파일명
에서 4를 뜻하는 것
# chmod u+s 디렉토리/파일명
에서 u+s 를 뜻함
Set-gid(2): group에 대한 특수 권한 설정
- 파일 소유 그룹의 권한으로 실행
- 디렉토리에 생성된 파일이나 서브 디렉토리는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권을 상속
# chmod2644 디렉토리/파일명
에서 4를 뜻하는 것
# chmod g+s 디렉토리/파일명
에서 u+s 를 뜻함
stickybiT(1) : 특수 권한 (스티키비트)
- 해당 디렉토리 내의 파일 삭제 및 이름 변경 권한을 파일 소유자나 디렉토리 소유자에게만 부여
# chmod +t 디렉토리/파일명
에서 +t를 뜻함
# chmod 1644 디렉토리/파일명
에서 1을 뜻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