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우드 배우기
ACL 설정하기 - CentOS 7 본문
ACL
1. chmod의 같은 경우에는 세 명이 넘는 사용자에게 각각 다른 권한을 줘야 할 때 그 기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
이를 보완해주기 위하여 ACL(Access Control List)을 사용한다.
2. 사용법
3. ACL 을 활용하여 접근 권한 나누기
● 최상위 디렉토리에 구방이라는 회사명의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
● 9bang 이라는 회사 안에는 sales팀, finance 팀, IT팀, admin 팀이 존재한다.
● SS는 sales 팀의 staff의 약자, ST는 sales 팀의 team leader의 약자.
● FS는 sales 팀의 staff의 약자, FT는 sales 팀의 team leader의 약자.
● 각각 비밀번호는 bang9로 설정한다.
● 팀원들은 본인 부서의 디렉토리에서 읽기, 실행이 가능
● 팀장들은 본인 부서의 디렉토리에서 읽기, 실행이 가능 + 타 부서 디렉토리에서 읽기 및 실행 가능
● IT 부서의 디렉토리에는 유저는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을, 그룹은 읽기,실행 권한을, 그리고 기타 사용자에게는
실행 권한만 부여한다.
● admin 부서의 티렉토리에는 어떤 경우라도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있도록 설정한다.
(참고 echo | 의 경우에는 뒤에 있는 명령어로 앞에 거를 실행해준다. SS로 타이핑된 것을 보자면 SS 유저 패스워드에
bang9를 입력해준다는 뜻이다.)
● sales 디렉토리에 user는 읽기, 쓰기, 실행을, group에는 읽기, 실행을 기타 사용자는 아무 권한도 부여하지 않는다.
● 각각 유저에게 위에서 언급한 권한을 부여해주고, 팀장은 타 부서 디렉토리에 관한 권한을 추가적으로 지정해준다.
● IT 부서는 다 같은 권한이기 때문에 default 권한으로 설정했다.
(참고 setfacl -m d에서 d는 defualt라는 뜻으로 default 권한 조절을 하는데 사용된다.)
● admin은 어떤 경우라도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설정이 되어야 하니 mask로 지정해주었다.
(참고 setfacl -m m::r 의 뒤에 m은 마스크라는 뜻으로 마스크는 권한 조절을 하는데 사용된다.)
● getfacl 에서 ammin의 권한을 보면 effective과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.
● SS로 로그인 (ST 팀장으로 먼저 로그인 해서 a.txt를 미리 만들어둔 상태)
● ST로 로그인
● FS로 로그인
● FT로 로그인
● 유저 별로 권한이 다르게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isk 관리 : Storage 및 LVM - CentOS 7 (0) | 2023.08.15 |
---|---|
사용자 및 그룹 관리- CentOS 7 (0) | 2023.08.14 |
메타데이터 정보 분석 - CentOS 7 (0) | 2023.08.14 |
Linux 설명 및 CentOS7 기본 명령어 (0) | 2023.08.13 |
package 설치하기 (apache2 설치) - CentOS 7 (0) | 2023.08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