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HEL9 NFS 서버 - 클라이언트 서버 설정
이 전에 NFS 서버 구성을 작성한 적이 있는데 다른 방식으로 NFS 서버 구성을 진행하고자 포스팅 작성
<이전 작성글>
https://hiheey.tistory.com/178
RHEL NFS 설정
servera: NFS-Serverserverb: Client Server serveraip: 10.0.0.1 #rpm -qa | grep nfsnfs 서버 설치 여부 확인 #yum install -y nfs-utils nfs 서버가 설치되지 않았으면 nfs-utils 다운로드 #systemctl enable --now rpcbindrpcbind 활성
hiheey.tistory.com
<참고>
https://whitestudy.tistory.com/15
Linux - NFS 설정
설정 준비 하기 ip servera : 192.168.50.101(servera.example.com) ( NFS 서버 ) ip serverb : 192.168.50.102(serverb.example.com) (Client 서버) 서버 공유 폴더 : /share (폴더 를 생성 해준다 mkdkr /share) 클라이언트 공유 폴더 : /
whitestudy.tistory.com
server1 - NFS 서버
# mkdir /share
공유 폴더 생성
# chmod 644 /share
권한 설정
# yum install -y nfs-utils
nfs 패키지 설치
# systemctl enable --now nfs-server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nfs
방화벽 허용
#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rpc-bind
#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mountd
# firewall-cmd --reload
# vi /etc/exports
/share 10.0.0.0/24(rw,sync)
# 참고 10.0.0.*/24(rw,sync) 지정 시, server2에서 access denied 오류가 계속 발생함
# exportfs -ra
NFS 서버가 내보내는 파일 시스템 내용 업데이트
# exportfs -v
외부 공유 폴더 정보 확인
# showmount -e
NFS 서버 마운트 정보 확인
server2 - 클라이언트 서버
#mkdir /share1
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
# yum install -y nfs-utils
nfs 패키지 설치
# systemctl enable --now rpcbind
원래 활성화 되어 있기는 함
# showmount -e
NFS 서버 마운트 정보 확인
(연결 안 될 시, 여기서도 systemfctl enable --now nfs)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rpc-bind
# firewall-cmd --reload
# mount -t nfs 10.0.0.1:/share /share1
10.0.0.1(server1)의 /share 디렉토리에 10.0.0.2(server1) 의 /share1 디렉토리 마운트
# dh -f
마운트 확인
# vi /etc/fstab
재부팅 시에도 마운트가 되도록 추가 설정
10.0.0.1:/share /share1 nfs defaults 0 0
# mount -a